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모음

(32)
방심은 금물입니다 풀협죽도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고 높이 60-120cm이다. 잎은 번갈아가며 마주나서 열십자 모양으로 되거나 3장이 돌려나며, 긴타원형 또는난상 풀협죽도 피침형으로 길이 7-13cm, 폭 2-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줄기 끝에 둥근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2-4cm이며,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녹색이다. 화관은 통부분이 길이 2-4cm로서 길고, 위쪽이 5갈래로 갈라져서 갈래가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꽃부리 안에서 다른 높이에 붙어 있다. 한 포기의 화기(花期)는 길지만 꽃 자체의 수명은 짧다. 내한성이 강하고 튼튼하지만 그늘에서는 꽃이 잘 피지 않는다. 공원이나 화단에 많이 심는다. 협죽도 같은 꽃이 달리는 풀이란 뜻으로 생긴 이름이다. 봄과 가을..
슬픈전설이 담겨있는 찔레꽃 가을이 되면 팥알만 한 빨간 열매가 앙증맞게 달리는데 이것을 영실(營實)이라 하여 약재로 썼다. 여자들의 생리통, 생리불순이나 신장염 치료에 효험이 있는데 8~9월쯤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달여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먹으면 된다. 찔레 뿌리는 산후통, 부종, 어혈, 관절염 치료에 좋고, 뿌리에 기생하는 찔레버섯은 어린아이 경기, 간질 치료에 최고의 묘약일 뿐 아니라 각종 암 발생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험이 있다고 한다. 산에 오르다 보면 쭉 뻗어 멋있게 생긴 나무도 많지만 가시덤불을 이루어 산행을 힘들게 하는 떨기나무도 있다. 그중 하나가 찔레나무다.쓸모없는 귀찮은 나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찔레나무는 쓸모가 많은 나무다. 봄이 한창 무르익을 때쯤 하얀색 또는 연분홍 꽃이 피는데 소박..
쉼없이 꽃을 보여주는 자주괭이밥 자주괭이밥 잎은 뿌리에서 직접 나며, 3장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작은잎은 심장 모양이며, 뒷면은 털이 드문드문 있고, 작은 검은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고,흰색 털이 밀생한다. 꽃은 잎 자주괭이밥 사이에서 긴 꽃대가나와 그 끝에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피침형이고 길이 4-7mm이며, 털이 있고, 끝에 2개의 붉은색 선체가 있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장이다. 수술은 길고 짧은 것이 모두 10개이며,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관상용으로 기르던 것이 퍼져서 경작지근처나 빈터에 야생으로 자라기도 한다. 선괭이밥(O. corniculata L.)에 비해 땅속에 비늘줄기가 있고, 꽃이 붉은색이며, 산형꽃차례로달리므로 구분된다 남아메리카원산인 귀화식물이다. 인가 부근의 밭둑이나 길..
예로부터 오랜사랑을 받아온 배롱나무 꽃에는 활혈(活血)·지혈·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혈붕(血崩)·월경과다·적백대하(赤白帶下)·외상출혈·장염·설사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높이는 8m 내외로서 중국에서 들어왔다. 수피가 미끄러울 정도로 매끈하고 새로벗겨진 자리는 색깔이 연하기때문에 수피가 알록달록하다. 소지(小枝)는 사각형이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윤기가있고 털이 없다. 꽃은 양성화로서 7∼9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20cm, 지름 3∼4cm이다. 꽃잎은 꽃받침과 더불어 6개로갈라지고 주름이 많다. 수술은 30∼40개로서가장자리의 6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果)로서 타원형이며 10월에 익는다. 보통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
하천과 물가에서 볼수있는 갯버들 약간 가죽질(革質)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鋸齒)가 있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털(絹毛) 있으나, 후에 점차 없어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3mm 정도이고 털이 있다.4∼5월에 덜 익은 열매를 그대로 식용한다. 제방의 방수림으로적당하며 1∼2년생 가지는 꽃꽂이 소재로 사용된다. 내한성과 맹아력이 크며 오리나무·키버들 등과 함께 섞여 자란다. 한국·일본·중국·우수리강 연안 등지에 분포한다. 꽃은 단성화로 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어두운 자주색 꽃이 핀다. 수꽃이삭은 넓은 타원형으로 수술이 2개이고, 암꽃이삭은 긴 타원형으로 꿀샘이 1개이며 붉은색이다. 포는 긴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4개이다. 3~4월에 잎 나기 전에 개화하며 작년 가지(前年枝) 겨드랑이에서 난..
당신을 사랑하는 행복 하아신스 주요 품종으로는 적색계:잔 보스·라 빅터·암스테르담 청색계:델프트 블루·펄 브릴리안트·비스마크·퀸 오브 더 블루스 연분홍색계:마르코니·레이디 더비·안네 마리·퀸 오브 더 핑크스·체스넛 플라워 등이 있다. 알뿌리를 심는 시기는 10월 상순·중순이다. 화단이나 분재로 할 경우는 알뿌리 둘레가 15cm정도의 것을 심지 않으면 작은알뿌리는 꽃이 피지 않는다. 화단에는 1m2당 석회 100g을 살포하고 기비(基肥)로서 퇴비 2kg, 복합비료30∼40g, 깻묵 100g의비율로 잘 섞고 30cm 깊이로 갈아 넣는다. 기비 위에는 15cm 정도의 흙을 덮고 알뿌리를 심은 다음, 알뿌리 위에 6∼7cm의 흙을 덮는다. 집단으로 많이 심을 때에는 알뿌리의 간격을 10cm정도로 한다. 히아신스는 내한성이 있는 다년생 유피인..
여러가지색깔을 가지고 있는 팬지 꽃잎은 5개이나모양이 서로 같지 않고 위의 2개는 보통 무늬가 없으며, 밑의 3개는 좌우의 것과 가운데의 것이 평형을 이루고무늬가 있는 것이 기본형태이나 무늬에 변형이 많다. 또, 팬지 계속 월동시킨 식물은 생장이 약하여 꽃이 작아지므로 파종해서 꽃을 보는 것이 좋다. 6월에는 종자를 채취하게 되는데, 고온기를 거친 종자는 발아력이 감퇴되므로 될 수 있는 대로 저온의 건조상태로 저장해야 한다. 고성절화형(高性切花型):키가 40∼50cm로 크고 꽃대도 20cm 이상 되므로 절화용으로 이용되며, 꽃도 대륜계에 못지않게 큰 것이 있다. 주로 일본에서 개량되었으며, 주요 품종으로는 퍼플퀸(Purple Queen)·볼윈터 플라워링(Ball Winter Flowering:키 45cm, 물결 모양 대륜)·스위트 팬지..
수줍은 고백 튤립 네덜란드의 상징인 튤립의 원산지는 사실 터키다. 16세기 후반 유럽 전역으로 퍼졌는데 이색적인 모양이 관심을 모으며 귀족이나 대상인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다. 순식간에 귀족의 상징이된 튤립은 튤립 신분 상승의 욕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인기가 높았고, 대유행을 따라 점점 가격이치솟아 황소 천 마리를 팔아서 살 수있는 튤립 구근이 겨우 40개 정도였다고한다. 튤립만 있으면 벼락부자가 될 수 있다는 환상을 가진사람들이 튤립 늘면서 급기야 투기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보통재배:토질은 점질양토가 좋으며 배수가 잘 되지 않는 곳에서는 썩는다. 건조하고 유기물이 부족한 곳에서는정상적으로 자라지 않으며,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 10월에 노지에 비늘줄기를 심는데, 재식거리 15∼18cm, 깊이 6∼9cm가 알맞다.유기..